반응형 스프링부트3 [lesson] Spring - REST REST (Representational State Teansfer) (직역 : 전송하기 위한 대표상태를 전달) ->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를 대표하도록 설계 된다. 이전의 URL = /board/list REST 이후의 URI = /board/123 (경로가 아닌 하나의 대표를 의미 -> 123번의 게시물) => /board/123을 입력하면 이전에는 html이었겠지만 이제는 페이지가 아닌 정보가 나온다(Xml, Text. JSON) 그로인해서 URI에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. ※ URL vs URI URL = Location으로 경로를 의미하며, URI = Identify로 정보를 의미한다. URL = '너가 요청한 경로의 파일을 보여줄게!' URI = '너가 요청한 정보는 이거야!' .. 2023. 1. 10. [lesson] Spring - @ [어노테이션] @RestController 클래스 자체를 REST방식으로 사용하겠다고 알리는 어노테이션 @ResponseBody 일반 클래스에서 REST방식의 메소드를 사용할때 알리는 어노테이션 @PathVariable("URI의 변수명") URI의 변수명과 메소드의 매개변수를 매핑시켜주는 어노테이션 @RequestMapping("/OOO/*") 웹 브라우저의 요청중에 경로가 replies로 시작하는 요청페이지가 있다면 이 클래스를 이용해라 라고 알리는 어노테이션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야 핸들러 맵핑이 찾을 수 있다 또한 Mapping방식이 2개 이상 (PUT, PATCH 등) 사용할때 @RequestMapping(method={RequestMethod.PUT, RequestMethod.PATCH})로 사용할 수 있다.. 2022. 2. 4. [lesson] Spring-boot - 프레임 워크 프레임 워크란 VS 라이브러리 → 내가 주인지! 도구가 주인지! 이것이 비교의 본점! 라이브러리 : 개발할 때 필요한것들을 가져와서 쓰는것에 목적! ( 내가 주! : 코드 작성중에 시간 단축을 위해 필요한 코드를 불러와서 사용, 코드를 변경 또는 다른 기능으로 사용해도 작동에 문제가 없음!) 프레임워크 : 이미 환경이 어느정도 구성이 되어있는것에 목적! ( 코드(도구)가 주! : 프레임워크가 정해놓은 툴(기반, 정책)을 따라 작성, 코드 작성중 프레임워크가 변경되면 크게 문제가 생김!) 프레임 워크란! 뼈대나 근간을 이루는 코드들의 묶음 개발자는 각 개개인의 능력하이가 큰 직종이며, 개발자 구성에 따라 프로젝트 결과가 역시 큰 차이르 낳는다.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코드의 결과물이 바로 프레임워크! .. 2021. 10. 6. 이전 1 다음 반응형